작품소개
화폐 제조는 대표적 사양산업으로 거론되기도 한다. 신용카드와 체크카드가 대표적 결제 수단으로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고, 이마저도 각종 ‘페이pay’로 넘어가고 있으니 당연한 일이다. 50년 전 화폐본부를 발족하여 순수 우리 기술로 천 원권 제조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달려온 한국조폐공사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돈을 책임지고 있는 한국조폐공사의 현재와 미래를 통해 경제 변화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해보자.
저자소개
고은영, 강인원, 김기영, 김양수, 김성현, 김시용, 김지은, 김준호, 류한식, 류차현, 박영록, 박준용, 박재현, 배수현, 서동일, 서진원, 성민석, 신우진, 심종오, 이근우, 이영석, 이응규, 이종선, 이재상, 이진우, 이창건, 유광현, 유창수, 윤대일, 윤라영, 왕상식, 장준호, 정해원, 주민규, 최성민, 최윤호, 최원균, 최홍배, 황성필(가나다 순)
목차
프롤로그
1부 한국조폐공사 무슨 일을 하나요?
1장 이런 것도 만들어요?
- 돈만 만드는 기업? 돈도 만드는 기업
- 한국조폐공사가 걸어온 길
- 한국조폐공사, 이것이 궁금해요!
에피소드 | 드라마 〈종이의 집〉은 현실이 될 수 있을까?
2장 해외 조폐 기관과 차이가 뭐죠?
-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종합 조폐 기관
- 세계 최고 화폐 품질 자부심!
- 평생직장? 취업준비생이 일하고 싶은 공기업 5위
에피소드 | 동전 테두리에 톱니 모양을 새긴 뉴
3장 돈이 사라진다? 위기의 한국조폐공사
- 현금 없는 사회가 온다!
- 또 다른 위기 CBDC
2부 사업 다각화로 위기를 돌파하라
4장 화폐의 기술이 다른 영역으로 확장
- 한국조폐공사의 생존 전략을 찾아라
- 화폐의 첨단 보안 요소가 상품권 속으로
- 여기에도 위변조 방지 기술이?
- K-브랜드는 우리가 지킨다
에피소드 | 100억 원대 수표 위조 발생!
5장 디지털 세상에서도 변함없는 신뢰지킴이
- 모바일 신분증 시대를 열다
- 페이 시대의 뿌리, 모바일 결제 사업의 반복적 실패
- 착Chak, 블록체인 기반 한국조폐공사 지급 결제 플랫폼
- ICT 시대의 사업 다양화
에피소드 | ICT 조직 확대 및 경력직 채용, ICT 이사 외부 공모까지
6장 특수 압인 기술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여라!
- 동전에 문화적 가치를 담다
- 새로운 기술은 더하고 사회적 가치는 나누는 기념 메달
- 예술형 주화 발행을 위한 첫걸음
- 금 거래 질서 확립을 위하여
에피소드 | 해외에서 발행된 김연아 선수 기념주화
7장 해외 신시장 개척, 글로벌 빅5를 향하여
- 매출 1조 달성을 위한 수출 확대
- 해외에도 한국조폐공사가? 우즈베키스탄 GKD
3부 제조를 넘어 ICT·문화·수출 기업으로
8장 조폐를 산업으로 재창조하자
- 비밀문서는 보안 전문 기업에게
- 미룰 수 없는 숙제, 제지부문 최적화
- 위폐 방지와 도안 변경, 새 은행권을 준비하는 이유
에피소드 | 세계 은행권 도안 사례
9장 블록체인 기반의 ICT 기업으로
- 7대 국가 신분증이 모바일로
- 온누리상품권 지류·카드·모바일을 한 곳에서
- CBDC 생태계에서 한국조폐공사 역할을 찾아라
에피소드 | 아날로그 행정은 그만, 디지털 위임장
10장 콘텐츠로 국가 위상을 높이는 문화 기업으로
- 한국의 문화유산을 세계로! K-예술형 주화 도입
- BTS, 손흥민이 메달로
- 화폐 제조 기술로 탄생한 문화상품 요판화
- 화폐 부산물의 재탄생, 화폐 굿즈
에피소드 | 해외 주요국이 발행하는 예술형 주화
에피소드 | 벙커에서 수장고로
11장 글로벌 시장을 개척하는 수출 기업으로
- 고부가가치 기반 은행권 주재료 해외 수출
- ICT 해외 수출을 위한 잰걸음
- 한국조폐공사의 사업 전환이 갖는 의미
에피소드: 국가별 디지털 신분증 현황과 K-DID
에필로그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