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파워
대출 QR 코드
메타파워
저자
오상진
출판일
2025-07-10
출판사
메디치미디어
공급일
2025-09-19
공급사
용량
36.04MB
모바일
지원가능
EAN
9791157064540
유형
누적대출
0
대출
0/5
예약
0/3
대출 QR 코드 란?

좌측에 위치한 QR 코드를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QR 코드 리더기로 스캔하시면 전자 도서관 App 실행 및 자동 대출 처리가 되어, 보다 손쉽게 대출이 가능한 기능입니다.

작품소개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미래 지능형 군사력의 개념인 메타파워(Meta Power)를 통해 21세기 대한민국의 새로운 국방 혁신을 제시한 책. 저자 오상진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장은 정보통신, 과학기술, 국방 관련 부처와 기관에서 지난 30여 년간 국가 정보통신 정책 기획을 담당해온 전문가로, 이 책에는 그간의 연구 결과물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이 책은 AI 시대에 미래 국방의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새로운 군사력 패러다임인 메타파워를 중심으로 이의 등장 배경과 특징을 자세히 분석한다. 특히 데이터 중심의 메타파워가 현대 및 미래 전쟁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며, 인공지능, 사이버, 우주, 그리고 C4ISR(지휘 · 통제 · 통신 · 컴퓨터 · 정보 · 감시 · 정찰) 역량이 어떻게 상호 연결되어 인지적 우위를 확보하고 전쟁 수행 방식을 변화시키는지 설명한다. 데이터 통합, 사이버 보안, 분산 지능 같은 핵심 개념들을 통해 미래 국방 조직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뿐 아니라 방대한 데이터 홍수 속에서 안보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은 결국 인간의 몫이라는 AI 윤리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력을 담고 있다. 이 책은 급변하는 미래 환경에 대비해 국방력 증강을 고민하는 모든 이들에게 유용한 제언으로 가득하다."

저자소개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장. 광주광역시에서 대한민국의 인공지능산업 발전을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30년간 공직에 있으면서 정보통신 정책 수립 업무를 하였으며, 주요 보직으로는 국방부 국방개혁실장,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 국가안보실 사이버팀장, 평창올림픽조직위 정보통신국장,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장,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실 행정관을 역임하였다.
그간 수립한 대표 정책으로는 국방 인공지능(AI) 전략, 국방 드론 전략, 5G 전략, ICT WAVE 전략, 국가 사이버안보전략(2019년), 양자암호통신 육성 정책, 평창 ICT 올림픽 전략, 개인정보보호 종합계획 등이 있다.
한양대학교에서 전자공학을 공부하였고, 미국 오레곤대에서 MBA를 졸업하였으며, KAIST에서 미래 전략 박사학위를 받았다. "

목차

"추천의 글
들어가는 글
감사의 글

제1부 새로운 군사력 개념의 등장

제1장 군사력 개념의 진화
1-1 군사력의 진화
1-2 ICT 융합과 군사력 운용
1-3 미래 20년, 군사력의 대전환
1-4 기존 군사력 개념의 한계를 넘어

제2장 기술확장이론과 군사력
2-1 인간 능력의 외부 확장
2-2 현대 전장에서의 인지적 확장
2-3 기술확장이론과 현대 군사력의 재구성

제3장 국방 메타파워 개념의 배경
3-1 메타파워 개념의 출발점
3-2 국방비전 2050

제4장 과학기술과 군사력, 그리고 국방 메타파워
4-1 과학기술과 군사력
4-2 정보기술의 발전과 지휘통제방식의 변화
4-3 하드파워에서 메타파워로의 전환

제5장 힘(Power)의 변천과 메타파워
5-1 전통적 힘 개념
5-2 군사학의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
5-3 제3의 힘의 개념 95
5-4 한국군의 힘의 모델: 하드파워, 소프트파워, 메타파워
제2부 ICT 기반 국방 메타파워의 구현과 특성

제6장 ICT 기반 인지적 군사력
6-1 인지적 군사력이란 무엇인가?
6-2 인지적 군사력 전략
6-3 인공지능 역량
6-4 사이버 역량
6-5 우주 역량
6-6 C4ISR 역량
6-7 인지적 군사 역량 종합

제7장 데이터 관점의 인지적 군사력
7-1 인지적 군사력의 구성 요소
7-2 인지적 군사력의 구조화
7-3 사이버 보안

제8장 인지적 군사력의 구조와 속성
8-1 인지적 군사력의 구조
8-2 인지적 군사력의 속성
8-3 상호작용(Interaction)
8-4 통합(Integration)
8-5 분석(Analytics)
8-6 민첩성(Agility)
8-7 인지적 우위(Cognitive Superiority) 확보

제3부 인공지능과 데이터 중심 국방력

제9장 인공지능과 인지적 군사력
9-1 인공지능: 인지적 전쟁의 시대
9-2 AI 진화의 비밀: 계산기에서 전장의 두뇌로
9-3 AI의 학습 원리와 군사적 적용
9-4 전장 상황 인지와 멀티모달 정보 분석
9-5 AI 기반 전술 도출과 작전 지원
9-6 거대 언어 모델(LLM)의 군사적 활용
9-7 온톨로지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체계
9-8 AI 기반 미래 군사력의 전망
9-9 AI 군사 활용의 윤리와 신뢰성

제10장 국방부 조직의 복잡성과 조직 이론
10-1 국방조직은 복잡계
10-2 복잡적응형 조직 이론과 국방 적용
10-3 데이터 기반 적응형 국방조직론

제11장 데이터 기반의 국방조직 체계
11-1 디지털 조직지(組織智, Organizational Intelligence)
11-2 국방조직의 데이터 중심 전환
11-3 미국과 중국의 국방 디지털 조직 구조
11-4 메타파워 구현을 위한 국방 디지털 조직화
11-5 데이터 중심 국방조직 구성 방안

제4부 국방 메타파워 전략

제12장 한국군의 국방 메타파워 전략
12-1 메타파워 시대, 국방 전략의 대전환
12-2 인지적 우위 확보 전략
12-3 인지적 군사력 정보통신 기반 구축 방향
12-4 디지털 조직지 향상 문화
12-5 데이터 중심 국방조직 구조
12-6 인력 양성

제13장 메타파워 시대 인간의 역할과 AI 윤리 문제
13-1 AI 군사력과 인간
13-2 AI 군사력과 사회적 수용

부록1 군사 분야 혁명과 세 가지 군사력
부록2 약어 설명
주요 참고 문헌
찾아보기 "

연관도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