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소개
"인도적 위기의 최전선에서 연대하고,
현실을 증언하며, 희망을 나누고, 함께 성장하는
국경없는의사회 활동의 진정한 의미와 그 진면목을 담은 책
국경없는의사회는 1971년부터 50여 년간 전 세계를 대상으로 무력 분쟁, 자연재해, 전염병의 영향을 받거나 의료서비스로부터 소외된 이들에게 인도적 · 의료적 지원을 해 온 인도주의 의료 구호 단체이다. 이들은 오직 환자의 필요에 따라 지원을 제공하며 가장 심각하고 긴급한 위험에 처한 사람들을 우선적으로 도와 왔다. 이들의 구호 활동에 넘지 못할 국경은 없다.
이 책은 의료 사각지대와 분쟁 지역 등에서 활동 중인 국경없는의사회의 한국인 구호 활동가 11인의 현장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들은 세계 최대의 난민 캠프를 비롯하여, 영양실조와 결핵, HIV와 자궁경부암, 그리고 의료서비스에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서 활동하거나 총성과 분쟁으로 위기에 처한 현장에서 인도주의 의료 활동에 참여하면서 느낀 생명과 평화의 소중함, 인류애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다. 이 책에 담긴 필자들의 깊은 성찰은 인류가 좀 더 연대하고, 희망을 나누며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독자를 이끌고 있다."
저자소개
"지은이 국경없는의사회 구호 활동가 11인
김용민 정형외과 전문의. 2018년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로 첫 파견을 나간 이후, 같은 해 에티오피아에서 정형외과 의사로 활동했다. 2019년 다시 가자 지구로 파견됐으며, 2025년 남수단에서 활동했다. 이 책에서는 첫 파견이었던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 긴급 프로젝트와 다음해에 다시 찾은 가자 지구에서의 활동을 전하고 있다.
김영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이 책에서 소개한 2016년 남수단 아곡 프로젝트에서 소아과 의사로 활동하였다.
문소연 약사. 2019년 말라위 블랜타이어, 2021년 라이베리아 몬로비아, 2022년 시에라리온 케네마, 2024년 차드에서 프로젝트 약국 관리자로 활동하였다. 이 책에는 2021년 라이베리아 몬로비아 파견 활동 이야기를 싣고 있다.
박선영 수술실 간호사. 2015년 남수단 랑키엔, 2016년 요르단, 2018년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에서 수술실 간호사로 활동하였다. 이 책에서는 국경없는의사회의 활동을 설명하며 더 많은 이들의 참여를 권하고 있다.
박지혜 수술실 간호사. 2018년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로 첫 활동을 나갔고, 이후 같은 해 라이베리아 몬로비아에서 활동했다. 2019년 카메룬과 남수단 말라칼, 다시 2021년 남수단 말라칼에서 활동했다. 이 책에는 2019년 카메룬에서 간호 활동 책임자로 활동한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송경아 간호사. 2016년 남수단 파견을 시작으로, 2017년 남수단, 시에라리온, 2018년 분쟁지역에 긴급 파견되어 활동을 이어갔다. 2021년, 이 책에서 소개한 방글라데시 콕스바자르 로힝야 난민 캠프에서 간호 활동 책임자로 활동하였다.
신경수 소아과 전문의. 이 책에서 다룬 2019년 나이지리아 마이두구리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국경없는의사회 활동을 시작했으며, 2021년 시에라리온 케네마 프로젝트에 소아과 의사로 활동하였다.
유한나 보건증진 교육가. 2017년 파푸아뉴기니에서 환자 교육상담 관리자로, 2019년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2021년 파키스탄에서 보건증진 활동 관리자로 활동하였다. 2022년 인도에서 환자 교육상담과 보건증진 활동 코치로 활동하였다. 이 책에서는 여러 지역에서 보건증진 교육가로 활동한 내용을 전하고 있다.
임희정 약사. 2017년 방글라데시에서 프로젝트 약국 관리자로 국경없는의사회 활동을 시작했으며, 2019년 말라위 자궁경부암 프로젝트에서 활동하였다. 이 책에서는 두 프로젝트에서의 경험을 소개하고 있다.
정상훈 일반의. 2011년 아르메니아, 2013년 레바논에 파견되어 활동했으며, 2014년에는 시에라리온에서 에볼라 대응에 참여한 15년 차 활동가이다. 2022년에는 이 책에서 소개한 수단 옴두르만 프로젝트에서 의사로 활동하였다.
홍기배 소아과 전문의. 2016년 남수단 파견을 시작으로, 2018년 레바논, 2021년 수단, 2022년 에티오피아, 2024년 시에라리온 케네마에서 소아과 의사로 활동하였다. 이 책에서는 2021년 수단 카르툼 프로젝트에서의 활동을 전하고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 가장 어두운 곳에도 빛이 존재한다 17
국경없는의사회 활동가 헌장 22
1부 국경을 넘어, 구호 현장으로
어느 때보다 뜨거운 여름이 올 거야 | 수단, 정상훈 24
겹겹의 위기 속 난민 캠프에서 생명을 살리는 일 | 방글라데시, 송경아 61
따뜻한 마음은 따뜻한 마음을 낳고 | 라이베리아, 문소연 85
잊지 못할 첫 파견, 열대열 말라리아와의 전쟁 | 나이지리아, 신경수 107
질병과 싸울 새로운 진지를 함께 지으며 | 말라위, 임희정 130
2부 분쟁의 현장에서 생명을 돌보는 일
총성과 공포를 현실로 살아가는 곳에서 생명을 돌보는 일 | 카메룬, 박지혜 154
그곳이 어디든, 도움이 필요한 곳에 의료의 손길을 | 수단, 홍기배 181
세계의 화약고 한가운데서 총상을 돌보다 | 팔레스타인, 김용민 207
지난한 분쟁 안에서 희망을 꿈꾸는 사람들 | 남수단, 김영휘 226
병원과 사람을 잇는 다리, 보건증진팀 | 유한나 248
3부 구호 현장에서도 삶은 계속된다
도전해 보세요, 국경없는의사회 | 박선영 274
조금씩 익숙해지기 위하여 | 임희정 286
아곡 파라다이스의 일상 | 김영휘 294
카멜레온 활동가의 설거지, 맥주 그리고 라면 | 김용민 302
내 선택의 무게, 두려움의 순간 | 송경아 312
부 록
부록 1 국경없는의사회 324
부록 2 국경없는의사회 활동에 참여하는 방법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