칩퓨처(CHIP FUTURE)
대출 QR 코드
칩퓨처(CHIP FUTURE)
저자
임준서
출판일
2025-05-16
출판사
21세기북스
공급일
2025-09-19
공급사
용량
40.94MB
모바일
지원가능
EAN
9791173573057
유형
누적대출
1
대출
0/5
예약
0/3
대출 QR 코드 란?

좌측에 위치한 QR 코드를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QR 코드 리더기로 스캔하시면 전자 도서관 App 실행 및 자동 대출 처리가 되어, 보다 손쉽게 대출이 가능한 기능입니다.

작품소개

"대한민국은 반도체 패권을 되찾을 수 있을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운명은 어떻게 될 것인가?

이 시대 인류에게 반도체란 무엇인가? 간단히 말해 전부이다. 반도체가 없다면 견고해 보이는 현대 문명은 그 토대를 잃고 무너질 것이다. 현재를 반도체 문명이라고 불러도 지나친 바 없다. 반도체를 단순히 첨단기술의 일부나 산업의 한 분야로 간주하고 접근한다면, 국가와 기업, 개인의 삶을 위기에 빠뜨릴 수도 있다.
반도체를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30년 가까운 세월을 칩 비즈니스 현장에서 분투했고 지금은 반도체 기술과 비즈니스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투신한 임준서 연세대학교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교수는 종합적으로 조망하는 망원경과 세밀한 부분을 들여다보는 현미경이 모두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그리고 그는 『칩 퓨처(CHIP FUTURE): 반도체의 미래가 모든 것의 미래다!』에서 반도체 비즈니스와 기술을 읽는 3가지 렌즈를 제시한다. 혁신과 생태계, 지정학이 그것이다.

반도체 패권을 읽는 3가지 렌즈
혁신, 생태계, 지정학

첫째, 반도체 혁신은 철저히 시장 중심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혁신의 속도를 시장과 동기화해야 한다. 기업 내부 목표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 개발을 진행한다면 시장의 니즈를 놓칠 수 있다. 단기 실적주의도 위험하다. 패키징, 양자 컴퓨팅, 우주, 에너지의 미래 등을 그리며 혁신의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전체 시스템의 유기적 통합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시스템 아키텍트 양성이 요구된다.

둘째, 반도체를 생태계 중심으로 읽는 종합적 안목이 필요하다. 그래야 전통적 비즈니스 모델이 지속 가능한지, 기술적 우위를 확보한 기업이 시장에서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등 핵심 질문에 답할 수 있다. 이는 IDM, 파운드리, 펩리스, 소부장, OSAT(후공정) 모두 마찬가지다. 또한, 개방된 체계와 모델을 통해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어야 한다. 폐쇄적 전략을 고집했던 인텔이 몰락하고 개방형 생태계로 전환한 마이크로소프트가 다시 일어선 맥락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반도체가 현대 지정학의 판도를 바꾸어놓았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과거 핵무기처럼 반도체는 최고의 전략자산이자 안보수단이 되고 있다. 따라서 반도체 패권 전쟁의 맥락을 짚어보며 미래의 전략적 국경을 어떻게 확대할지를 고민해야 한다. 반도체 패권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 반도체 기술에 대해 동맹국들을 통제하고 중국을 고립시키고며 리쇼어링 전략을 펼치는 미국, 반도체 기술 대외 의존에서 벗어나 자체 개발을 향해 몸부림치는 중국, 반도체 기술을 방패로 삼아 중국의 침공을 견제하는 대만 등 반도체 지정학을 면밀하게 살피며 한국의 블루존을 찾아야 한다. 특히, 대만 상황을 불안하게 여기고 추가 생산 기지를 찾는 세계적 흐름에 잘 올라탈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대한민국 경제는 반도체에 크게 의존해왔다. 그러나 반도체 혁신과 생태계, 지정학의 판도가 바뀌며 미래 전망이 안갯속처럼 불투명하다. 우리가 반도체 산업의 주도권을 되찾아올 전략은 무엇인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운명은 어떻게 될 것인가? 이들에게 필요한 혁신과 전략은 무엇인가? 『칩 퓨처(CHIP FUTURE): 반도체의 미래가 모든 것의 미래다!』는 그 해답을 상세히 그리고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특히, 8가지의 핵심 조언은 반도체 패권 시대를 헤쳐나가는 데 매우 긴요하다.
① 반도체 전략 탱크로 미래를 예측하고 설계하라.
② 시스템 아키텍처로 기술 혁신의 설계자가 되라.
③ 패키징, 양자 컴퓨팅, 우주, 에너지의 전략적 국경을 확장하라.
④ 품질과 완성도에서 절대 경쟁력의 기반을 다져라.
⑤ 개방 생태계로 혁신의 속도를 가속화하라.
⑥ 블루존에서 기술 외교의 새 지평을 열어라.
⑦ 대만 위기를 전략적 기회로 전환하라.
⑧ 인지적 다양성으로 지속 가능한 혁신을 이끌어라.

저자소개

"이름: 임준서
약력: 연세대학교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교수

30여 년간 실리콘밸리와 삼성전자 등에서 축적한 반도체 설계와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칩 비즈니스 전략을 이론화 · 체계화하고 있다.
혁신적 생태계 접근을 통해 차세대 AI 반도체 전문 인력을 양성하며, 비즈니스와 지정학적 통찰력을 겸비한 공학자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마이크로 아키텍처, 진화 연산 등이다.
서울대학교 원자핵 · 전자공학 학사, KAIST 전기전자공학 박사. 실리콘밸리 샌드크래프트에서 MIPS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파이온 네트워크 스위치 패브릭, LG전자기술원 멀티미디어 SOC 개발을 거쳐서, 삼성전자 DS부문 센서사업팀장(부사장)을 역임했다."

목차

"◎ 목차

추천사(권오현 · 경종민 · 데이비드 멘들로비치)
머리말_반도체 패권 시대를 헤쳐나갈 전략적 통찰의 지도

1장 반도체 산업의 전환점 위기 속 기회
01 반도체 산업의 역사적 전환점
02 세계 반도체 시장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03 한국 반도체 산업의 도전과 기회

2장 반도체, 지정학의 중심
01 단극에서 다극화 시대로: 미 · 중 기술 전쟁의 필연성
02 화웨이와 미 · 중 기술 전쟁: 도화선과 상징
03 미국의 칩 제조 리쇼어링 정책의 불확실성
04 대만의 실리콘 방패: 해협의 긴장과 전쟁 시나리오
05 중국 기술 굴기: 과거의 교훈, 미래의 야망
06 다극화 시대의 균형점

3장 기술 혁신의 로드맵
01 고든 무어의 청사진: 실리콘 혁신의 메트로놈
02 마이크로프로세서 비즈니스의 전환점: 인텔의 혁신
03 EUV 리소그래피: 반도체 미세화의 개방형 혁신
04 원자 스케일로의 도약과 파인만의 예측: 3D 구조와 나노 재료 혁신

4장 비즈니스 모델과 생태계
01 카버 미드의 통찰: 반도체 비즈니스 모델의 기원
02 파운드리 모델: TSMC의 재무제표 읽기
03 재무제표로 읽는 팹리스 모델: 엔비디아의 손익 구조와 리스크
04 2030년 반도체 시장과 생태계

5장 AI와 반도체의 공진화
01 AI 혁명의 두 축: 알렉스넷과 트랜스포머의 진화
02 AI 칩 아키텍처의 진화: GPU에서 NPU, 에지 AI까지
03 엔비디아에 도전하는 AI 칩 경쟁자: AMD, 브로드컴, 스타트업, 빅테크
04 AI 확장성 한계와 인간형 추론으로의 진화: 데이터 고갈과 인간 수준의 추론

6장 기술 융합의 미래: 비선형적 혁신과 지속 가능성
01 칩렛 기술: 이종 결합이 여는 비즈니스 패러다임
02 감지에서 지능으로: 양자 컴퓨팅과 센서 기술
03 데이터센터와 에너지 혁신: SMR과 핵융합 기술의 도전 ... 227
04 생물학적 통찰: 시각과 두뇌에서 배우는 기술 혁신

7장 위기와 혁신의 리더십
01 중국 스마트폰 산업: 실험정신과 혁신 리더십
02 애플 생태계 구축: 실리콘 혁신과 글로벌 공급망 전략
03 마이크로소프트의 변신: 폐쇄에서 개방으로
04 인텔의 불확실성: 폐쇄적 전략의 한계와 교훈

8장 반도체 패권의 미래 전략과 통찰
01 반도체 전략 탱크: 미래를 예측하고 설계하라
02 시스템 아키텍트: 기술 혁신의 설계자
03 혁신의 로드맵: 패키징, 양자 컴퓨팅, 우주, 에너지의 미래를 그려라
04 품질과 완성도의 힘
05 개방 생태계: 협력과 혁신의 가속화
06 기술 외교: 블루존에서 기회를 찾다
07 대만 위기를 전략적 기회로 활용하라
08 인지적 다양성과 융합적 사고: 혁신의 원동력

미주"

연관도서 목록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