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소개
2016년, 2022년에 이어 2024년 다시 무대에 오른
배삼식 극본, 손진책 연출의 〈햄릿〉
실존에 대한 고민에서 나아가 삶과 죽음의 경계를 허물다
한국의 스타 극작가 배삼식과 최고의 연출가 손진책이 다시 〈햄릿〉으로 찾아왔다.
손진책 연출가는 2016년 이해랑 탄생 100주년 기념 공연으로 〈햄릿〉을 올리며 연출가이자 드라마투르크로 활동하는 박철호 작가에게 드라마투르기를 의뢰해 새로운 해석을 선보인 바 있다. 그리고 2022년에 이어 2024년 6월 다시 세 사람의 협업으로, 세 번째 〈햄릿〉이 탄생했다. 2024년 〈햄릿〉은 이미 2022년 작에서 볼 수 있었던 ‘죽음에 대한 모색’은 더욱 깊어진 동시에 더는 삶과 죽음의 경계 혹은 틀에 갇히지 않는 초월의 경지를 보여준다. 《햄릿 스쿨》은 이 세 번의 〈햄릿〉이 탄생하고 진화하는 모든 과정을 담은 드라마투르기 노트로, 저자 박철호가 연출가, 배우 등과 함께 셰익스피어의 원전을 한 줄 한 줄 분석하고 치열하게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8년의 여정이 담겨 있다.
저자소개
연극 연출가. 최근에는 주로 번역과 드라마투르기로 연극 작업에 참여하고 있다. 30년간 미국과 유럽에서 거주하면서 2천여 편의 연극을 관람하여 쌓아온 세밀하고 정확한 분석으로 한국 연극계의 드라마투르기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고자 한다. 드라마투르크로 참여한 작품으로는 〈햄릿〉(2016, 2022, 2024), 〈오셀로〉(2023), 〈아라비안나이트〉(2018), 〈브라질〉(2018), 〈피와 씨앗〉(2018), 〈술 취한 포틴브라스〉(2017), 〈파리대왕〉(2016) 등이 있고, 〈엘리베이터 열쇠〉(2017)를 연출했다.쓴 책으로 《베를린, 천 개의 연극》, 옮긴 책으로 아고타 크리스토프 희곡집 《르 몽스트르》가 있다. 2015년부터 계원예술대학교 겸임 교수로 재직 중이다.
목차
프롤로그
chapter 1. 이승과 저승의 길목에서
등대 안의 햄릿: 첫 번째 공연 노트 서문/2016/
죽음 바라보기: 두 번째 공연 노트 서문/2022/
이승과 저승을 오가는 햄릿: 세 번째 공연 노트 서문/2024/
chapter 2. 햄릿과 연옥에 대하여
전사에 관해서
연극 〈햄릿〉, 그리고 그 틈새에 숨어 있는 루터
연옥에 갇힌 햄릿
유령의 방해물
chapter 3. 햄릿, 그 고독한 인간
햄릿 성격 분석: 운명이라는 그물에서 몸부림치는 햄릿
햄릿은 왜 비텐베르크로 돌아가지 않았나?
햄릿의 첫 번째 독백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들에 관하여
연극이라는 결론에 도달하는 고독한 햄릿
탱고를 추는 햄릿
햄릿과 오필리어의 사랑은 어떻게 파국으로 흘러가는가?
사느냐 죽느냐, 펀치라인이냐 옵션이냐
햄릿과 피러스
chapter 4. 죽음을 부르는 덴마크 왕실
클로디어스 성격 분석: 악을 구축하는 액터
감시의 연극인가 애매모호함의 연극인가?
클로디어스의 고백록
폴로니어스 성격 분석: 세상일은 내 손안에
폴로니어스의 무거움에 대하여
폴로니어스가 넘어야 하는 네 가지 장애물
오필리어 성격 분석: 세상 외로운 오필리어
트랩에 갇힌 오필리어의 사느냐 죽느냐
누가 오필리어를 죽였는가?
레어티즈 성격 분석: 분노와 슬픔의 절정
의심의 유전자, 레어티즈
레어티즈의 분노는 어떻게 가라앉는가?
거트루드 성격 분석: 덴마크 권력의 원천
물음표를 불러일으키는 거트루드
chapter 5. 목격자와 희생자 사이에서
호레이쇼 성격 분석: 햄릿의 베르길리우스
침묵 속의 목격자, 호레이쇼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 성격 분석: 햄릿의 팔스타프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도 죽는다
오즈릭 성격 분석: 덴마크의 신흥 졸부
오즈릭의 고민
무덤파기 성격 분석: 죽음의 초대
chapter 6. 배우들에 관하여
배우들과 햄릿의 연기 지도
피안의 연극
햄릿의 탄생: 2024년 두 명의 햄릿에 관한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