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에 꼬리를 무는 한국경제사
대출 QR 코드
꼬리에 꼬리를 무는 한국경제사
저자
김정인
출판일
2023-06-26
출판사
휴머니스트
공급일
2024-07-16
공급사
용량
0BYTE
모바일
지원가능
EAN
4801160809184
유형
누적대출
3
대출
0/5
예약
0/3
대출 QR 코드 란?

좌측에 위치한 QR 코드를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QR 코드 리더기로 스캔하시면 전자 도서관 App 실행 및 자동 대출 처리가 되어, 보다 손쉽게 대출이 가능한 기능입니다.

작품소개

V경제상식은 웬만큼 공부했다 싶은데
V재테크 실전도 좀 해봤다 싶은데
뉴스 보면서 ‘한국경제’ 왜 이러지 궁금했던 이들에게
-
28만 구독 금융·경제 레터 ‘어피티’ 정인이
지금 각종 경제 이슈의 뿌리가 되는
핵심 사건들만 뽑아 쉽고 유쾌하게 들려드립니다!

오늘날-지난날 경제 이슈의 연결고리를 찾아드립니다
-모든 시사(오늘의 일) 뒤에는 역사가 있는 법!

암호화폐·NFT·AI 급변하는 경제 환경에서 자립의 첫발을 떼야 하는 20대,
전세를 벗어나 범서울 내집마련의 꿈을 향해 달리는 30대,
벼락거지 될까 봐 재테크에 뛰어든 지 n년차 40대,
명퇴 후 임대사업자가 꿈이었던 현 자영업자 50대,
이미 노후인데 여전히 노후대책 마련 중인 60대.
오늘도 경제 뉴스를 뒤적일 수밖에 없는 우리 모두에게,
쉽고 생생하게 오늘의 한국을 이해하게 하는 어제의 경제 뉴스를 들려드립니다.

2000년대 말 많고 탈 많은 성남시 개발을 이해하려면 1971년 8·10성남민권운동부터 살펴보아야 성남이라는 지역의 특수성과 개발 이슈를 제대로 따라갈 수 있습니다. 비정규직, 긱워커 등 2023년 현재 우리를 둘러싼 불안정 노동의 문제를 짚으려면 1997년 대기업 연쇄 부도와 외환위기부터 따져보지 않을 수 없지요. 왜 아버지가 ‘주식 하면 삼대가 망한다’고 말씀하시는지 궁금하다면 1962년 증권파동의 현장으로 가보아야 합니다. 1980년대 3저 호황과 2000년대 한미 FTA를 통과하면 유가와 환율이 멱살 잡고 가는 우리나라 경제의 특성을 단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2000년 닷컴버블과 2020~2021년 빅테크버블을 함께 놓고 흐름을 따라간다면 미래의 어떤 버블 앞에서 좀 더 의연할 수 있을 거예요.
이렇게 시사 뒤에는 역사가 있습니다. 부모님, 부모님의 부모님이 내린 ‘어제’의 결정이 어떤 과정을 거쳐 ‘오늘’이 되었으며, 우리의 ‘오늘’은 어떤 모습의 ‘내일’로 찾아올지 예감하기 위해서라도 한국경제사는 한 번쯤 펼쳐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책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사건들을 비교하고 연결하며 현재와 미래를 이해하고 예측하게 합니다. 가격이 오를 부동산을 고르는 법으로 시작한 이야기가 명문고, 무장공비, 지하철 2호선 노선, 인구 과밀, 체비지, 경부고속도로 등으로 이어지며 강남의 탄생을 눈앞에 펼쳐 보이는 식입니다. 빚이 100억이면 부자일까, 거지일까 하는 질문으로 시작해 저축은행 뱅크런, 2008년 세계 금융위기, PF대출, 사채, 8·3사채동결조치, 종금사와 ‘꺾기’ 관행까지 막힘 없이 술술 풀어가며 사금융과 제2금융권의 시작과 현재까지를 일목요연하게 들려줍니다.
이처럼 《꼬리에 꼬리를 무는 한국경제사》는 오늘의 한국 경제 문제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쉽고 재밌고 빠른 지적 여행의 길잡이입니다.

삼성전자를 예로 들어볼게요. 삼성전자가 전 세계 반도체산업의 핵심 기업이라는 ‘오늘’의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지만, 지독하게 가난한 나라에서 한 기업이 도대체 왜, 어떻게, 어쩌다 그 자리까지 올라갈 수 있었는지 ‘어제’의 과정을 아는 사람은 적어요. 오늘의 성공에는 삼성전자의 노력뿐 아니라 글로벌 거시경제 환경과 한국을 비롯한 각국 정부의 정책 또한 있었단 말이에요. 당시 역사를 모른다면 우리는 유사한 환경에 처했을 때 이미 검증된 성공과 실패의 맥락도 모른 채 내일을 마주하게 됩니다.
-〈머리말〉 중에서(6쪽)

2019년에는 저축은행에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되지 않는 돈이 6조 5,000억 원어치나 저금되어 있었답니다. 금융 사고 보호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이슈지만, 한번 사고가 나면 현실적으로 피해자 구제가 어렵습니다. 개인의 책임 문제와 금융상품 판매 구조의 부조리함이 복잡하게 뒤엉켜 있기 때문이에요. 개인이 구조를 이길 방법은 없다고 봐도 좋아요. 그래서 불합리한 구조와 관행은 반드시 개선돼야 합니다. 하지만 당장 손해 보는 사람은 나 자신인 만큼, 내가 책임져야 하는 부분에서는 최대한 똑똑한 소비자가 돼야 합니다. 물론 이렇게 속 편한 소리도 21세기니까 할 수 있는 이야기고, 1972년 8·3사채동결조치 때는 그럴 수도 없었어요. 저축은행의 탄생이 1972년이었다고 앞에서 말씀드렸죠? 이제부터 기업이 서민들에게 사채를 빌려 쓰던 기이한 관습에 대해서 이야기를 풀어볼게요.
-〈4-3. 대기업이 중소기업 대리한테 돈을 빌려달라면?〉 중에서(347~348쪽)

저자소개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경제학 석사를 수료했다. KDI 경제정보센터 연구원, 비플라이소프트 미디어빅데이터분석팀에서 근무했으며, 현재는 금융·경제 전문 뉴미디어 ‘어피티’ CCO로서 금융·경제 정보를 선별하고 해석해 사람들에게 전하고 있다. KDI 연구원 시절, 미디어에 내보낼 경제정책 정보를 정리하며 각종 경제 현상에 재미를 느껴 경제학과에 편입해 경제 공부를 시작, 경제학 석사과정에까지 진학했다. 경제학이 재미있는 만큼 어렵기도 했기에 늘 고군분투하는 나날이었다. 미디어빅데이터 회사에서 근무하며 경제 공부를 쉬게 되었고, 그 아쉬움을 달래고자 ‘어피티’에 흥미로운 경제 사건과 그 뒷이야기를 2년 동안 매주 연재하다 2021년에 ‘어피티’ 정식 구성원이 되었다. 경제 공부에 재미와 어려움을 동시에 느끼는 ‘나 같은 사람들’을 위해 교과서만으로는 이해되지 않는 경제 이야기를 실생활 사례들로 쉽고, 재미있고, 뼈저릴 만큼 생생하게 전하는 것이 목표다. 지은 책으로 《오늘 배워 내일 써먹는 경제상식》, 《웰컴 투 어피티 제너레이션 2022》(공저)가 있다.

목차

머리말

Part 1. 부동산
1. ‘천당 위의 분당’이 원래는 빈민가였다고?
2000년대 성남시 개발 - 1971년 8·10성남민권운동
2. 강남이 무장공비 덕분에 부자가 된 사연
1970년대 명문고 강남 이전 - 1970년 경부고속도로 개통
3. 세계 유일의 전세 시장 탄생기
1970년대 전세 시장 - 2010~2023년 갭투자와 깡통전세
4. 세종시에서만 사람들이 행복한가 봐
2004년 세종시 건설 - 1961~1996년 산아제한 정책

Part 2. 노동과 복지
1. 최저시급 1만 원에 나라가 흥하고 망하고
2017년 최저임금 1만 원 공약 - 1988년 최저임금제 실시
2. IMF가 우리나라에 사과한 이유는
2022년 불안정노동 - 1997년 대기업 연쇄 부도
3. 노조는 일하게 해달라고 하고, 회사는 문 닫겠다고 하고
2020년 현대차 무분규 - 1979년 YH무역 사건
4. 우리나라 건강보험은 어떻게 세계 최고가 됐을까
2021년 가사근로자법 제정 - 1977년 의료보험 실시

Part 3. 금융경제
1. 영업 사기 쳤다! vs 자연재해다! 이번엔 진짜 이해해 보는 2008년 세계 금융위기
2019년 독일 국채투자상품 사건 - 2008년 세계 금융위기
2. 금모으기운동, 정말 도움됐을까?
2000~2003년 카드 대란 - 1997년 외환위기
3. 분식회계의 진짜 이름은 ‘회계 사기’
2003년 SK글로벌 사태 - 1997~1998년 대우그룹 부도
4. 단군 이래 최대 사기 사건에 비하면 가상화폐 그까짓 거
1993년 금융실명제 - 1982년 장영자 어음사기
5. 경제사에는 왜 삼성·현대 이야기만 있고 네이버·카카오는 없어요?
2020~2021년 빅테크버블 - 2000년 닷컴버블

Part 4. 정치와 경제
1. 왜 아버지가 ‘주식 하면 삼대가 망한다’고 말씀하시냐면
2021년 자산버블 - 1962년 증권파동
2. 이건희는 장남도 아닌데 삼성그룹 물려받음
2021년 국정농단 - 1966년 사카린 밀수
3. 대기업이 중소기업 대리한테 돈을 빌려달라면?
2011~2021년 저축은행 뱅크런 - 1972년 8·3사채동결조치
4. 재계 7위 그룹도 정부 눈치 안 보면 열흘 만에 공중분해
2017년 한진해운 파산 - 1985년 국제그룹 파산
5. 정경유착이 우리 건강에 미치는 영향
1995~2011년 가습기살균제 사건 - 1990~1994년 낙동강 페놀 유출 사건

Part 5. 국제관계와 경제
1. 한국·미국·일본이 로맨스 찍으면 주인공은 누구죠?
2020년 코로나19와 GVC -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
2. 에너지 가격이 올라가면 정권이 바뀐다?
2016년 전기 요금 폭탄 - 1979년 오일쇼크와 부마민주항쟁
3. 유가와 환율이 멱살 잡고 가는 우리나라 경제
2006~2012년 한미 FTA - 1986~1988년 3저 호황
4. 이것도 다 먹고살자고 하는 짓
1993년 우루과이라운드 - 1945~1950년 토지개혁
5. 세계 6위 국방력인데도 자꾸 불안한 건 기분 탓일 거야
2016년 한한령과 사드 - 1980년대~ 북방정책

참고문헌
사진 출처

연관도서 목록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