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소개
"부엌에서 땀 흘리며 만드는 밥 한 그릇.
두 그릇도 아닌 한 그릇을 먹기 위해 늘 그렇게 살아왔다."
그때 우리가 차려 먹었던 건
두고두고 기억될 사랑, 오래 간직할 든든한 꿈
"우리 뭐 해 먹지?" 40년째 무대와 촬영장을 오가는 배우 양희경이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많이 되뇐 말을 꼽는다면 아마 이 문장일지도 모른다. 연예인으로, 배우로 살아온 세월이 인생의 절반을 넘어섰지만, 여느 살림꾼처럼 아침에는 점심, 점심에는 저녁, 저녁에는 내일 아침 메뉴를 고민하느라 하루가 다 간다. 뭐 해 먹지, 이 생각의 이면에는 일하는 엄마로 살아온 세월과 무게가 가득하다.
아버지를 여의고 기울어진 집안 기둥을 붙잡고자 양팔을 걷어붙인 열일곱 때부터 두 아들을 홀로 키워내기 위해 고군분투하던 젊은 날을 지나 칠십이 된 지금에 이르기까지, 저자에게 부엌일은 끝날 기미가 보이질 않았다. 해 먹일 복만 잔뜩 있고 얻어먹을 복은 없구나, 깨달은 순간 그가 가장 먼저 한 것은 부엌일을 부엌 놀이로 바꾸는 것이었다. 사랑과 의무감에서 시작된 부엌 놀이었을지언정 지금의 양희경을 이루는 것은 8할이 집밥이다.
밥은 우리가 분명 살아가는 데 필요한 동력이다. 그래서 누군가에게 먹일 밥을 짓는 것은 타인의 삶을 이어주는 행위로서 결국 사랑을 뜻한다. 그러니 스스로를 먹이기 위해 차려 먹는 밥은 곧 사랑을 본인에게 대접하는 셈이다. 내가 나를 위하는 일, 스스로를 일으키는 집밥. 주저앉고 싶어도 그럴 틈조차 없이 달려온 배우 양희경이 자신의 칠십 인생을 이야기할 때, 그 이름을 『그냥 밥 먹자는 말이 아니었을지도 몰라』라고 붙인 이유다.
"나는 아무거나 못 먹고, 안 먹으면 살 수가 없으니 결국 몸을 일으켜 나를 위한 음식을 만들어야 한다. ... 지금껏 살아오면서 난 무엇을 제일 즐겁게, 잘했을까? 배우니까 연기일 거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열심히 살아내면서 내 손에서 끝까지 놓지 않은 것은 오히려 음식 만들기다. 이도 저도 크게, 빛나게 잘한 것 없이 살았지만 이것만큼은 내가 꾸준히 해온 일이다."
입에 맞는 집밥 한끼에 모든 게 순해지고
다 괜찮아질 때가 있다
"TV에서 봤던 양희경만을 떠올린다면, 나보다 더 많은 놀라움과 감동을 느낄 것이다"라고 말한 배우 겸 감독 송승환의 추천사처럼, 지금까지 우리가 드라마에서 만나본 배우 양희경은 집안에서 말썽을 일으키는 천덕꾸러기 고모의 얼굴을 하고 있다. 그러나 도서 『그냥 밥 먹자는 말이 아니었을지도 몰라』를 집필한 작가 양희경은 씀바귀처럼 향긋하지만 쌉싸름했던 인생 이야기를 나긋한 목소리로 풀어내는 사람이다.
도서 『그냥 밥 먹자는 말이 아니었을지도 몰라』는 총 4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난 칠십 년간 저자가 맛보아온 먹거리 이야기와 온몸으로 부딪히며 사랑해온 가족 이야기, 동년배들을 위한 건강 이야기, 배우로서 지켜내고픈 연극 이야기 등 TV에서는 볼 수 없었던 저자의 생각들이 푸짐한 한상차림으로 담겨 있다. 무엇보다 도서 곳곳에는 연예계에서 손맛 좋기로 유명한 저자의 내 맘대로 집밥 레시피도 자연스럽게 만나볼 수 있어, 독서 중에 불현 듯 오늘 저녁 메뉴를 생각하게 만든다.
좋을 수만 없는 인생이지만 갓 지은 쌀밥을 김에 싸서 간장에 콕 찍어 먹으면 나쁠 수만도 없는 인생으로 바뀐다고, 그러니 입맛에 맞는 밥 한끼는 꼭 챙겨 드시라 말하는 저자의 맑은 목소리는 도서를 읽어내리는 그 어느 순간 각자에게 익숙한 우리 엄마의 목소리가 되어 들린다.
마음이 허한 저녁, 무엇 하나 제대로 해낸 것이 없다 싶은 그런 날에 밥 짓는 냄새가 가득한 이 책을 펼쳐 한두 구절 읽어보기를. 문득 배가 고파질 것이고, 김이 모락모락 나는 밥 위에 아무렇게나 자리한 달걀프라이와 시원한 파김치가 생각날 거다. 곧바로 몸을 일으켜 저자의 레시피에 따라 고소한 밥 한 숟갈을 입안 가득 넣어보기를. 그렇게 한숨 같은 감탄을 내보내며 저자의 말처럼 "나쁠 수만도 없는 게 인생이구나" 하고 되뇌길 바란다.
저자소개
지은이 양희경
"뭐 해 먹지? 뭐 해 먹나... 매일 매끼니 늘 걱정했다.
비단 음식만의 고민이 아니라 하루하루를 어찌 살아가야 하나의 고민이었다.
(요즘은 먹거리가 넘쳐나서 고민한다.)
귀한 밥 한끼, 맛나게 해 드시는 나날이 계속되길 바란다."
1981년 연극 자 1122년으로 데뷔해 지금껏 무대와 촬영장을 오가는 배우. 먹는 이야기가 인생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배우지만 언제나 의상보다 밥이 먼저다. 살아온 이야기와 먹거리를 두루두루 버무려 글을 썼다.
목차
추천사
들어가는 글
1부 오찬 모임
지치면 부엌으로!
몸과 마음을 든든하게: 양배추 요리
우리집의 밥심 한 그릇
부엌일 아니고 부엌 놀이
집밥 먹는 삶은 걱정 없지
잡채는 인생이야
잘 만든 우리 장이 최고!
간젓장과 된장국
마구잡이 요리 비법
때려넣어도 맛있는 조합: 콩나물 요리
해봐야 느는 건 요리도 마찬가지!
깨끗한 소금과 유기농의 맛
건강한 땅을 지키는 건강한 사람들
어쩔 수 없이, 제주
제주 어멍들의 오일장
뜨끈한 국물 한 숟갈: 제주 요리
언제든 가고픈, 통영
온몸에 퍼지는 바다 향: 통영 요리
귀하디귀한 제철 식재료
숲속 풍미가 가득한 버섯
이것만큼은 꾸준히, 지치지 않고
고소한 견과류가 듬뿍!: 렌틸콩과 캐슈너트 카레
2부 티타임
페이스북은 창문이야
이제는 내 삶을 들여다볼 때
나는 엄마덩이입니다
젊은 시절을 생각하니, 짠해
그럼에도 같이 밥을 먹는다는 건
방문 잠그고 춤을!
여유로운 주말 오전에: 브런치 요리
꿈과 꿈
다시 꾸게 된 무대의 꿈
내가 사랑하는 연극
목소리를 내는 일
나의 뿌리, 떠오르는 장면들
아버지가 생각나는 날: 만두와 김치말이 국수
주는 복이 받는 복보다 많아
달걀 떡볶이와 공동 부엌
일하는 여자의 살림
남편은 사실 필요가 없네요
옷 정리는 언제나 작심삼일
기승전 밥일 수밖에
우! 의숙, 좌! 인조
나의 집밥을 제일 좋아하는 중강
내 멋대로 심슐랭스타
오늘도 단골가게
3부 오후 네시의 간식 타임
빼먹을 수 없는 디저트
처치 곤란 과일은 이렇게
건강하게 달달한 간식: 잼과 절임, 후무스
달려가는 시간과 어린 날의 기억
어느 날 덜컥 무릎이 고장났다
백 세 시대, 칠십에게 주어진 일
제자리를 걸으며 만난 철학자들
씨앗이 빛나는 것처럼
추억이 스며든 울면과 알리오올리오
우리집 레스토랑: 양식 요리
다 같이 먹으면 그게 샐러드야
나의 요리 선생님들
팥으로 메주를 쑨다고? - 쑤지, 그럼!
메이드 인 코리아! 가재도구 삼총사
한끼를 책임지는 장김치와 반찬 요리
새로 발견한 맛과 기억을 품은 맛
두 아들의 살림 놀이
집밥은 스스로를 위하는 일!
4부 또 만나요
잘 죽기 위한 준비 기간
가슴에 바르는 옥도정기
객사할 뻔했던 엄마
행복도 불행도 찰나
진짜 흥쟁이 양희경
시원하고 달큰한 맛이 일품: 대파 요리
희은이 동생 희경이
희은이 동생 희경이
우리집에 살던 식구들
노년의 미니멀 라이프
알아도 죽고 몰라도 살아!
아무하고나 밥을 먹을 순 없잖아
오래된 우리 나무집에게
걸으며 생각하는 것들
몇 살로 돌아가고 싶어?
숲처럼 살 수 있다면
친구와 웃는 날
우리 옆집으로 오세요
기분 따라 마음 따라 음식 처방전
제철을 놓치지 말 것!: 굴 요리
누군가와 함께 먹을 내일의 요리
깊은 바다에 빠지지 않도록
나가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