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소개
세계 최대의 지정학적 화약고
중동을 이해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중동에 관한 모든 것!
중동 지정학 전문가 이완 W. 앤더슨이 쓴 중동 지리학과 지정학의 고전. 이 책은 지리적, 지정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중동의 국가를 19개국으로 특정한 후 이 지역의 기후, 토양, 식물 같은 중동의 물리적 환경과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역사와 종교, 문화, 정치, 경제, 사회 등 역사지리, 인문지리를 비롯해 지정학적 측면의 모든 요소를 탐구함으로써 세계 최대의 지정학적 화약고인 중동에 대한 기본 배경 지식을 제공한다.
지정학은 지리라는 불변의 조건을 독립변수로 하여 그 위에서 벌어지는 정치적 현상들을 종속변수로 파악하는 학문으로, 여기에 각 국가의 이해관계가 얽힌다. 따라서 중동 지정학에 대한 이해 또한 중동의 지리적 이해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이 책은 지리학과 지정학을 함께 다룸으로써 중동에 관한 이해의 폭을 한층 넓혀줄 뿐 아니라, 지정학은 어떻게 연구되고 서술되어야 하는지 그 모범을 보여준다.
저자소개
이완 W. 앤더슨(Ewan W. Anderson)
1972년 영국 더럼 대학교 지리학과에서 강의를 시작했으며, 1995년 중동 · 이슬람 연구센터 교수로 임명되어 지정학을 가르쳤다. 현재 동 센터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70개 이상의 국가에서 근무하며 지정학, 경제학, 사회지리학 연구자로 높은 명성을 얻고 있으며, 영국 엑서터 대학교 중동개발학과 방문교수, 요크세인트존 대학교 방문교수를 역임했다. 또한 모로코의 알아카와인 대학교 전략연구소 특별고문, 미국 조지아 대학교 국제무역 · 안보센터 연구위원직을 수행했고, 미국 3군(육군 · 해군 · 공군) 사관학교에서 모두 방문교수로 근무한 이력이 있다. 지정학 전문가로서 주로 정치적 의사결정과 개발학에 지리학을 접목하는 연구를 수행해왔으며, 특히 중동의 수자원 및 광물자원 문제, 기후 및 기상, 국경 분쟁에 관해 지대한 관심을 보여왔다.
주요 저서로 《전략 광물: 미국의 지정학적 문제(Strategic Minerals: The Geopolitical Problems for the United States)》(1988), 《건조 지역의 수자원(Water Resources in the Arid Realm)》(1992), 《세계 정치적 화약고 지도(An Atlas of World Political Flashpoints)》(1992), 《전략 광물: 자원 지정학과 글로벌 지리경제학(Strategic Minerals: Resource Geopolitics and Global Geo-Economics)》(1997), 《국경선: 지정학적 지도(International Boundaries: A Geopolitical Atlas)》(2003) 등이 있다.
목차
서문
한국어판 서문
1장 서론
2장 땅의 구조와 형태
구조지질학 | 지질학| 지형학2 | 홍해 지역
3장 기후
기압 | 기단 | 기온 | 습도 | 강우 | 증발산 | 기후 변화
4장 토양과 식물
토양의 유형 | 식물
5장 핵심 자원: 물과 석유
물 | 석유
6장 역사지리학
고전 시대 | 아랍 시대 | 십자군 시대 | 오스만 제국 시대(1517~1923) | 19세기 중동과 제1차 세계대전 | 제1차 세계대전부터 20세기 말까지 | 비국가 행위자 | 지역기구
7장 사람과 인구
인종 | 언어 | 종교 | 인구 변동 | 요약
8장 사회
유목민 | 촌락과 경작자 | 도시와 도시민
9장 경제
농업 | 토지 개혁 | 토지 활용 | 농산품 | 가축 생산품 | 농업 요약 | 수산업 | 석유 산업 | 광업 | 제조업 | 서비스업 | 관광업
10장 중동의 국가들
지정학의 실정 | 바레인 | 키프로스 | 이집트 | 이란 | 이라크 | 이스라엘 | 요르단 | 쿠웨이트 | 레바논 | 리비아 | 오만 | 팔레스타인 | 카타르 | 사우디아라비아 | 수단 | 시리아 | 튀르키예 | 아랍에미리트(UAE) | 예멘
11장 지정학
서론 | 국제 경계선 | 대량파괴무기(WMD) | 재래식 무기 | 이주와 난민 | 마약과 마약 밀매 | 석유 | 수자원 | 식량 안보 | 범아랍주의 | 원리주의 | 테러리즘 | 분쟁
에필로그
해제: 오늘날에도 유용한 지리적 정보가 가득한 중동 지정학 교과서
약어 및 줄임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