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소개
1954년, 워싱턴의 연방대법원은 공립학교의 인종 차별은 헌법을 위반한다고 판결했다. 이에 따라 1957년 아칸소주의 리틀록에 사는 아홉 명의 흑인 학생에게 지역 공립 고등학교의 입학이 허가되었다. 이후 흑인 아이들의 등교는 수많은 백인의 반대에 부딪혀야 했으며 백인과 흑인 사이에 소요가 발생하기도 했다. 그리고 유대인 철학자 한나 아렌트는 1959년 발표한 에세이 「리틀록 사건을 돌아보며」에서 백인들의 반대를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를 무대로 삼은 흑인들의 운동을 비판했다. 아렌트에게 흑인 차별은 정치를 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였으며 학교에서의 인종 차별 철폐는 정치적 과제가 아닌 사회적 과제였다. 그는 흑인 대표 단체가 일반적인 인권, 시민권, 보통선거권이 아니라 노동, 주택 시장, 교육과 같은 사회적 차별에 집중하는 것을 비판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녀의 성장을 설계할 권리는 부모에게 있고 아이들은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받아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리틀록의 아이들을 어른의 싸움에 끌어들인 점에 우려를 표했다.
당시 흑인 소설가 랠프 월도 엘리슨은 이러한 아렌트의 입장에 분노했다. 그리고 로버트 펜 워렌의 책 『누가 검둥이를 대변하는가』에 실린 인터뷰에서 “초점이 너무 빗나갔”(167쪽)다는 말로 아렌트를 비판한다. 이 인터뷰를 읽은 아렌트는 1965년 엘리슨에게 사과의 편지를 쓰기에 이른다. 『뉴욕 거리의 한나 아렌트와 랠프 엘리슨』은 아렌트가 쓴 한 편의 에세이, 그리고 한 통의 편지에서 출발하고 있다.
어쨌든 저는 제 잘못을 인정합니다. 무자비한 폭행, 신체의 본능적인 불안을 이해하지 못했다는 기분이 들어요. 너무나도 정확한 당신의 소견 덕분에 제가 상황의 복잡다단함을 이해하지 못했음을 깨달았어요.(한나 아렌트가 랠프 엘리슨에게 보낸 편지 중에서, 15쪽)
편지를 썼던 당시 한나 아렌트는 뉴욕 리버사이드 드라이브가 370번지에, 랠프 엘리슨은 730번지에 살았다. 같은 거리에 살았던 유대인 정치 철학자와 흑인 소설가 사이에는 어떤 간극이 있었던 것일까. 유대인으로서 차별을 경험했던 아렌트는 왜 흑인 학생들의 강제적 통합에 반대했으며 어떠한 이유로 추후에 그 생각을 바꾸었을까. 『뉴욕 거리의 한나 아렌트와 랠프 엘리슨』은 똑같이 바다를 건너 미국으로 흘러들어 온 유대인과 아프리카계 흑인 사이에 어떠한 대조적인 조건과 입장이 존재했는지 파고든다. 저자 마리 루이제 크노트는 한나 아렌트와 랠프 엘리슨이 남긴 저작과 기록물, 편지와 인터뷰를 바탕으로 번영과 발전으로 가득했던 20세기 중반 미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그려내었다.
저자소개
프리랜서 기자, 번역가, 작가로 독일 베를린에서 활동하고 있다. 오랫동안 여러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일한 경력이 있는 크노트는 독일판 〈르몽드 디플로마티크(Le Monde Diplomatique)〉를 설립하고 편집장을 역임했다. 예술과 문학을 주제로 다수의 글을 출판하였고, 한나 아렌트에 관한 편저 『한나 아렌트?시인에게 진실을 갈구하다(Von den Dichte erwarten wir Wahrheit)』와 『한나 아렌트와 게르숌 숄렘, 서신교환, 1939-1964(Hannah Arendt/Gershom Scholem, Der Briefwechsel, 1939-1964)』 등을 출판하였다./한양대학교 독어독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빌레펠트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구대학교 문화예술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독일 마인츠대학교 객원교수와 한국브레히트학회 회장을 지냈다. 역서로는 「도축장의 성 요한나」(『브레히트 선집』), 『빌헬름 텔 인 마닐라』 등이 있다. 저서로는 『가상현실 시대의 뇌와 정신』(제34회 한국과학기술도서상 저술상 수상), 『공연예술의 초대』가 있고, 논문으로는 「변증법적 연극-브레히트의 후기극에 대한 이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치료과정에서 대화의 의미와 정신분석학 개념들의 형성들에 대한 고찰」 등이 있다.
목차
프롤로그
1. 우리 유대인
2. 발언권 사용
3. 겨울잠
4. 불안
5. 평등
6. 가늠할 수 없는 감정
7. 청산하지 못한 과거
8. 희생의 이상
9. 계몽의 변증법
10. 만남
11. 공화국
12. 종신형
13. 투표권을 갖는다는 것
14. 가능성
15. 경험
16. 각각의 정체성
17. 사과
랠프 엘리슨과 로버트 펜 워렌의 인터뷰: 무자비한 폭행과 희생의 이상
주